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FDA 승인 첫 특발성 기면증 치료제...임상 결과는?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미국 FDA가 승인한 최초의 특발성 과다수면증 치료제 옥시베이트(상품명 Xywav)의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임상 3상 결과가 공개됐다.프랑스 솔리아크 병원 소속 이브 도빌리에 교수 등이 진행한 특발성 과다수면증 성인 환자 대상 옥시베이트의 효능을 살핀 3상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이달초 1일 란셋에 게재됐다(doi.org/10.1016/S1474-4422(21)00368-9).특발성 과다수면증은 충분한 수면 이후에도 잦은 수면이 유발되는데 미국에서만 약 3만7천명에 달하는 환자들이 해당 증상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특발성 과다수면증 치료제로 첫 승인된 옥시베이트작년 8월 FDA는 옥시베이트를 특발성 과다수면증 치료제로 첫 승인했는데 당시 구체적인 임상 데이터가 공개되진 않았다.연구진은 유럽 6개국과 미국의 50개 수면센터에서 특발성 과다수면증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초기 옥시베이트 투약 후 적정 효능 및 용량을 확인한 후 옥시베이트 유지 및 위약 스위치 처방해 서로 비교했다. 졸음의 양과 질은 웹워스 졸음증 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 ESS)로 평가했다.초기 옥시베이트 투약군을 옥시베이트(n=56), 위약(n=59)으로 나눠 투약한 후 ESS 점수 변화를 살핀 결과 평균 ESS 점수는 위약군이 5.8점에서 13.3점으로 증가(악화)됐지만, 옥시베이트군은 6.3점에서 7.0점으로 안정세를 유지했다.이상반응(TEAE) 보고에서는 옥시베이트 투약군에서 메스꺼움(22%), 두통(18%), 현기증(12%) 등이 보고됐지만 경미했고 중증 이상반응의 경우도 약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그간 특발성 과다수면증에는 치료제가 없었다"며 "이번 임상 결과는 옥시베이트가 단일요법 또는 병용요법으로 유용한 1차 치료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한다"고 결론내렸다.
2022-01-19 11:56:54학술

"사각지대 놓인 과수면증 환자, 치료제 보험적용 시급"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기면병과 유사한 증상을 가진 '특발성 과수면증 환자'의 치료제 보험급여를 확대해야 한다는 전문가 주장이 제기됐다. 여기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까다로운 기면병 심사기준도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습니다. 아시아 기면병·과수면증학회 홍승철 초대 회장(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은 24일 메디칼타임즈와 만나 기면병 및 유사질환 환자들의 제도적 개선점들을 설명했다. 우선 홍 회장은 기면병 이와 심한 낮 졸림증을 가지고 있는 특발성 과수면증 환자들의 치료제 부담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홍 회장은 "특발성 과수면증 환자들의 경우도 기면병과 증상이 비슷한데 정부는 기면병에 대해서는 산정특례도 희귀난치성질환에도 포함시켰는데 특발성 과수면증은 외면 받고 있다"며 "약값에 대해서도 특발성 과수면증 환자들은 보험적용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꼬집었다. 특히 홍 회장은 "특발성 과수면증 환자들도 기면병 치료제(프로비질)의 경우 한 알에 2000원이 넘는데 매일 3알 이상을 먹어야 한다"며 "최소한 치료제 보험 적용은 해줘야 한다. 미국과 일본 등의 경우 기면병 환자들뿐 아니라 특발성 과수면증 환자들까지 약제 보험적용을 해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홍 회장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기면병 심사기준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학회에 따르면, 심평원은 기면증 관련 치료의 심사기준으로 수면잠복기가 15분 이내로 나타나거나 수면잠복기 반복 검사에서 평균 수면 잠복기가 8분 이내로 나타나고, 2회 이상의 램 수면(깊은 수면상태)이 나타나야 인정하고 있다. 아시아 기면병·과수면증학회 홍승철 초대 회장 하지만 홍 회장은 "심평원은 흔히 말해 수면잠복기 반복 검사에서 평균 수면 잠복기가 8분에서 조금만 넘어도 무조건 삭감"이라며 "심사기준을 탄력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심평원은 수치로 무조건 심사삭감 여부를 결정하는데, 전문가인 의사의 의견을 조금만 더 반영해줬으면 한다"며 "더구나 예전에는 뚜렷한 증상이 있는 환자만이 치료를 받았다면, 최근에는 수면클리닉이 많이 생기다보니 가벼운 증상에도 의료기관을 찾게 되는데, 보다 탄력적으로 심사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최근 몇 년간 논의되고 있는 야간수면다원검사의 급여화가 시급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함께 인터뷰에 참여한 한국수면학회 이정희 회장(강원대병원)은 "올해 야간 수면다원검사가 급여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야간 수면다원검사가 급여화 되면 환자들이 훨씬 병원을 많이 방문하게 되고 진단율이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이 회장은 "더구나 현재 수면다원검사의 경우 비급여로 많게는 100만원에서 60만원까지 병원들이 받고 있는데, 야간 수면다원검사가 급여화된다면 전체적인 의료비용도 감소될 것이기에 하루 빨리 급여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아시아 5개국 전문가가 모여 공식 창립을 선언한 아시아 기면병·과수면증학회는 앞으로 아시아 지역 기면병과 과수면증 연구자간 교류에 힘쓰기로 했다. 특히 2006년 '아시아 기면병 연구회'를 결성, 매년 심포지엄을 열어 아시아 지역 기면병과 과수면증 연구자간 교류와 협력을 주도한 홍승철 교수가 학회 초대회장을 맡기로 했다. 홍 회장은 "낮 졸림증에 대한 연구 및 진료의 질 향상으로 낮 졸림증의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 서울에서 학회를 공식창립하고 학술대회를 개최한데 이어 내년에는 대만에서 학술대회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2017-03-25 05:00:50학술

국내 연구진, 주간졸림증 특성·원인 발견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낮시간동안 심한 졸린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인 '기면병'과 '특발성 과수면증' 및 '수면무호흡증을 포함한 수면장애'의 생물학적인 특성과 원인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밝혀졌다. 가톨릭의대 성빈센터병원 수면클리닉 홍승철 교수팀(제1저자)과 미국 스탠포드대 기면병센터 Emmanuel Mignot(미뇨-교신저자) 교수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은 주간졸림증 환자 163명과 정상대조군 282명을 비교·대조해 이같은 특성을 발표했다. 17일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환자군 163명에 대해서는 수면다원검사, 입면잠복기 반복검사, 조직적합항원검사, 하이포크레틴검사를 실시했으며 정상대조군 283명에 대해서는 조직적합항원검사와 하이포크레틴검사(50명)를 시행했다. 이결과 기면병 환자 101명중 탈력발작을 동반한 환자 79명의 92%에서 특정 유전자인 ‘HLA-DQB1*0602’가 양성을 보였으며 하이포크레틴 측정치가 110pg/ml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 정상대조군에서는 환자의 12.8%만이 ‘HLA-DQB1*0602’ 유전자의 양성이 나타났으며 하이포크레틴 측정치는 정상치인 200pg/ml 이상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기면병의 졸림증은 뇌에서 분비돼 각성을 유지시키는 호르몬인 하이포크레틴의 생성이 부족한 것이 원인이라는 반증이며 HLA-DQB1*0602의 양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HLA-DQB1*0602가 기면병 유전자라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탈력발작을 동반하지 않은 기면병 환자 22명의 36%에서 ‘HLA-DQB1*0602’ 유전자가 양성을 보이고, 환자의 40%가 낮은 하이포크레틴 측정치를 보여 탈력발작이 동반된 기면병에서 하이포크레틴의 저하와 HLA-DQB1*0602의 양성률이 더 높다는 것도 발견됐다. 한편 특발성 과수면증 환자와 수면무호흡증에 의한 주간졸리움증 환자들의 ‘HLA-DQB1*0602’ 양성률과 하이포크레틴 측정치는 정상대조군의 수치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조직적합항원의 양성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하이포크레틴의 수치가 정상범위인 주간졸림증은 특발성 과수면증 또는 수면무호흡증 등에 의한 졸림증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졸림증의 원인이 다양하므로 치료 방법도 원인별로 각기 다르게 적용돼야 한다고 전했다. 기면병과 특발성 과수면증은 중추신경계 흥분작용을 갖는 약물치료가 주간졸림증을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이지만 수면무호흡증인 경우는 지속적 양압치료(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나 상기도를 넓혀주는 수술적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것. 홍승철 교수는 "이번 연구는 주간졸림등을 야기하는 수면장애를 원인별로 분류하고 그 특성을 밝힌 연구로 졸린 정도가 유사하더라도 졸린 원인이 각기 다르며 이에 따따 치료도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밝혀낸 국내 최초의 연구"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그는 "주간졸림증은 그 원인 및 치료방법이 다양하며 수면검사 및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확진이 가능하므로 수면클리닉을 찾아 전문의의 평가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그 학문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해 11월 수면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인 ‘SLEEP’지에 게재됐다.
2007-09-17 10:48:21학술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